2022-05-18

2020년 "농림어업총조사"로 본 우리 농업의 현재 모습

  농림어업총조사는 통계청이 전국의 모든 농가, 임가, 어가의 개별 특성을 파악하여 농림어업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실시되는 전국적 규모의 통계조사입니다. 2020년 결과는 21년 9월 확정되어 발표되었습니다.

  내용을 정리하면 농가수는 2015년 대비 -4.9%, 농가인구는 -9.9% 감소했으며 경기도 농가 인구가 31만명으로 전국에서 두번째로 많습니다. 또한 65세 이상 1인가구 비중이 증가하는 것은 농촌의 고령화 요인으로 농촌 노인복지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농가 인구 비중은 70대이상(29.3%), 60(27.7%), 50(18.3%) 순이며, 65세 이상 비중은 42.3%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65세 이상(16.0%) 보다 약 3배 많으며, 농가 인구의 중위 연령은 62.4세로 전체인구 43.9세 보다 18.5세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농지경지면적은 2015년 대비 -14.8% 감소하였으며, 농가당 경지면적은 1.08ha-10.0% 감소하였습니다. 또한 경지면적 1.0ha미만 농가가 73.5%이며,  5.0ha 이상 농가는3.2%로 나타났습니다. 농가당 경지 면적은 전북(1.50ha), 전남(1.44ha), 충남(1.34ha), 제주(1.19ha) 순으로 높으며, 경기는 0.9ha입니다.

  농가소득은 농축산물 판매금액이 1천만원 미만인 농가는 70.3%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5천만원 이상 농가비율은 7.9%로 조사되었습니다.

  기후위기 및 국제정세로 인한 식량위기가 가중되고 있는 시점에서 농업인 감소와 고령화, 경지면적의 축소, 농업소득의 감소는 우리 농업의 미래가 밝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어쩌면 식량위기가 농업인에게 있어 현재 위기를 탈출할 수 있는 기회로 볼 수 있으나, 식량위기로 인한 사회불안과 경제위기에서 농업인 역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입니다. 이제 늦기 전에 한국 농업과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국민이 함께 해법을 찾아야 할 때입니다.


1. 농  가  수

◾ 농가는 1035천 가구로 15년 대비 4.9% 감소하였습니다.

◾ 농가 인구는 2015년에 비해 255천 명(-9.9%) 감소한 2314천 명입니다.

◾ 농가 인구 비중은 전체인구의 4.5%입니다.

◾ 시도별 농가 인구는 경북 15.2%, 경기 309천 명(13.3%), 전남 12.1%, 충남 11.5% 순입니다.

◾ 가구원수별 농가는 주로 2인 가구(53.9%) 유형이며, 1인 가구(20.0%), 3인 가구(14.2%) 순입니다.

65세 이상 1인 가구 비중 : 10.7%(’10) 13.2%(’15) 13.8%(’20)로 증가하는 추세, 고령화가 요인입니다.

◾ 농가의 59.8%는 전업농가, 40.2%는 겸업농가입니다

 

2. 농 가(경영주)  구 성 원

 (농가 경영주 연령 통계)

◾ 농가 경영주 10명 중 7명이 60대 이상(73.3%)이며, 2015년에 비해 5.0%p 증가했습니다.

◾ 농가 경영주의 연령은 70대 이상이 39.7%로 가장 높으며, 6033.6%, 5019.5%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40세 미만 청년 경영주 가구 비중은 1.2%2015년에 비해 0.1%p 감소했습니다.

(농가 전체 구성원 연령 통계)

◾ 농가 인구 중 60대는 2015년에 비해 7.2% 증가한 27.7%인 반면에, 다른 연령층은 모두 감소하였으며 10세미만(-38.3%)10(-30.7%)에서 인구 감소율이 가장 높습니다

◾ 농가 인구 65세 이상 비중은 42.3%2015년 대비 3.9%p 증가했으며,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65세 이상(16.0%) 보다 약 3배 많습니다.

◾ 농가 인구의 중위 연령은 62.4세로, 우리나라 전체인구 43.9세 보다 18.5세 높습니다.

◾ 65세 이상 1인 가구 비중 은 ’10(10.7%), ’15(13.2%), ’20(13.8%)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3. 농 가 소 득

농축산물 판매금액이 1천만원 미만인 농가는 70.3%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5천만원 이상 농가비율은 7.9%입니다



4. 농 가   경 지 면 적

총 경지면적은 112ha15년 대비 (-14.8%) 감소하였습니다.

농가당 경지면적은 1.08ha15년(1.2ha) 대비 10.0% 감소하였습니다.

경지면적 1.0ha미만 농가는 76만 가구(73.5%), 5.0ha 이상 농가는 33천 가구(3.2%)로 나타났습니다.

농가당 경지면적은 전북(1.50ha), 전남(1.44ha), 충남(1.34ha), 제주(1.19ha) 순으로 높으며, 경기는 0.9ha입니다


5. 작 물   구 성

농가의 경영형태는 논벼(39.6%), 과수(16.3%), 채소산나물(16.3%), 식량작물(13.5%) 순입니다.

논벼는 충남(16.3%), 전남(15.7%), 식량작물은 경기(16.7%), 강원(16.1%), 채소산나물은 경남(15.9%), 전남(15.5%) 순으로 많이 경작하고 있습니다.

시설작물을 재배하는 농가는 126천 가구로 전체 농가의 12.2%이며, 고추 22.1%, 딸기 6.5%, 토마토 6.4% 순으로 높게 재배하고 있습니다.

주요 과수별 재배농가(단위: 천가구, %)

 

농 가

사과

복숭아

단감

포도

감귤

떫은감

2015

1,089

39

15

30

25

28

21

43

(100.0)

(3.6)

(1.4)

(2.7)

(2.3)

(2.6)

(1.9)

(3.9)

2020

1,035

39

12

33

28

22

20

33

(100.0)

(3.7)

(1.1)

(3.1)

(2.7)

(2.1)

(1.9)

(3.2)

증 감

-53

0

-3

3

3

-6

-1

-10

증감률

-4.9

0.1

-21.9

10.4

12.9

-21.6

-6.3

-23.2

(%p)

 

(0.1)

(-0.3)

(0.4)

(0.4)

(-0.5)

(-0.0)

(-0.7)


6. 축  산

주요 가축 중 2015년에 비해 닭을 사육하는 농가 비율은 0.7%p 증가한 반면, 다른 가축은 모두 감소했습니다.

주요 가축 사육 농가(단위: 천가구, %)

 

농 가

한우

육우

젖소

돼지

오리

2015

1,089

74

3

4

4

27

2

(100.0)

(6.8)

(0.3)

(0.4)

(0.4)

(2.5)

(0.2)

2020

1,035

57

2

3

3

33

1

(100.0)

(5.5)

(0.2)

(0.3)

(0.3)

(3.2)

(0.1)

증 감

-53

-16

-1

-1

-1

6

-1

증감률

-4.9

-22.0

-36.7

-24.7

-32.0

20.9

-34.3

(%p)

 

(-1.3)

(-0.1)

(-0.1)

(-0.1)

(0.7)

(-0.1)

농가당 가축 사육 규모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축사육 농가당 축종별 사육규모(단위: 천가구, 천마리, %)

구분

한우

육우

젖소

돼지

오리

2015

사육 농가수

74

3

4

4

27

2

사육 두수

2,273

124

324

7,368

147,351

8,307

농가당 사육두수(마리)

30.9

36.8

73.2

1,679

5,369

4,892

2020

사육 농가수

57

2

3

3

33

1

사육 두수

2,172

120

267

6,494

179,263

7,582

농가당 사육두수(마리)

37.8

56.4

80.1

2,175

5,402

6,794

증 감(마리)

6.9

19.6

6.9

496

33

1,902

 

 


 
 
 
 
 
 


댓글 없음:

댓글 쓰기